[Python] 3. 리스트
1. 리스트(List)란?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가장 기본적이 구조이다. 리스트(List)는 순서가 있고 수정이 가능한 일련의 요소들이다. 여기서 1) 순서가 있다. 2) 수정 가능하다 에 주목 해야한다.
파이썬에서 표현 가능한 자료 구조는 총 다섯 가지 자료 구조가 있고, 각각의 특징은 조금씩 다르다. 따라서 그 자료 구조끼리 차이점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2. 인덱싱(Indexing), 슬라이싱(Slicing)
인덱싱과 슬라이싱의 개념은 문자열 자료형에서 실행했던 것과 유사하다.
3. 리스트 추가, 삭제
리스트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려면 append(), insert(), remove(),pop()등의 메서드를 사용해야 한다. 리스트에서 제공되는 append()메서드는 기존의 리스트에 새로운 값을 추가할 때 사용하고, insert() 메서드는 insert(위치, 값) 처럼 사용해서 특정 위치에 특정 값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요소를 삭제하는 경우에는 del 문을 사용할 수 있다. del문을 사용하면 특정 범위내 모든 요소들을 삭제할 수 있다. remove() 메서드는 리스트에서 x값을 찾아서 삭제하고 그 값이 여러개이면 왼쪽에 있는, 인덱스 번호가 작은 값부터 차례대로 제거한다. pop() 메서드는 인덱스 번호에 해당하는 요소를 지운다. 즉, del문에서 값만 지우게 동작하려면 remove, 어떤 특정 위치의 요소를 지우려면 pop을 사용하면 된다.
4. 리스트 확장
ㄹ에는 extend() 라는 메서드가 사용된다. 만약 a = [1,2,3] 처럼 지정되어 있는 변수에 [4,5] 리스트를 추가한다고 해보자. 이 때, append를 사용하면 리스트안에 리스트가 그대로 저장된다. 즉, a = [1,2,3,[4,5]] 이렇게 된다. 이때, extend 를 사용하면 리스트안에 리스트가 있는 것이 아닌, 추가하려는 리스트의 요소들만 a에 추가된다.
5. 리스트 정렬
리스트 정렬에 쓰이는 메서드는 sort() 와 reverse()다. sort()는 오름차순으로 정리해준다.
그리고 reverse()는 요소들의 순서를 반대로 뒤집어 준다. 즉 1,2,3 이면 3,2,1 이 된다. 따라서 내림차순으로 정리를 하려면 sort와 reverse메서드를 같이 사용하면 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