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2-1. 문자열의 연산, 인덱싱, 슬라이싱
1. 숫자 연산
숫자 연산은 간단하다.
여기서 생소했던 것은 바로 나머지의 몫이다. 그리고 주의할 점은 위의 코드에서 나누기 연산에 해당하는 변수는 x4이다. 옆의 결과 값을 보면 나누기 연산의 return값이 float(실수) 라는 것이다.
2. 문자 연산
문자 연산의 결과를 보면, a,b 각각의 변수를 큰따옴표 " "을 통해서 문자열 데이터를 저장했고, 문자열을 더하면 결과로 그냥 붙여서 써지는 것을 알 수 있다.
3. 이스케이프 문자
Python에서는 C/C++ 과는 다르게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해서 나타낼 수도 있고 쌍따옴표("")안에 홑따옴표('')를 넣어서 표현하거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4. 문자열 Indexing(인덱싱)
인덱싱(Indexing)이란 일종의 주소를 부여하는 행위이다. 변수[위치값]써서 표현할 수 있다.
4. 문자열 Slicing(슬라이싱)
슬라이싱(Slicing)이란 이름 그대로 자르는 행동이다. 인덱싱처럼 한 글자만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를 한꺼번에 추출하는 것이다. 변수[시작 위치값: 끝 위치값]
5. 문자열 포맷팅 & 포지셔닝 파이썬 문자열 포맷팅
포맷팅은 문자열에 문자열이 아닌 다른 자료형의 값은 삽입하여 문자열로 변환 시키는 방법이다. C와 포맷팅을 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매서드 중 format()을 사용할때는 보통 문자열 안의 "{}"순서가 format() 안에서의 순서와 mapping되서 출력이 된다.
[출력]
안녕========
이렇게 10글자를 채워서 나온다. 이 때, 앞에 두 글자는 format과 마찬가지로 매핑되어 안녕이 먼저 나오고, 그 나머지 8글자가 =으로 채워지게 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