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ython] 1.자료형의 종류
Computer programming 언어를 공부함에 있어서 가장 먼저 배우게 되는 것이 바로 자료형이다. 자료형이란 변수에 저장된 자료의 형태를 말한다. 변수에 저장되거나 초기화된 값에 의해 그 변수의 자료형이 결정된다. 자료형에는 정수, 실수, 문자열, 불 등이 있다.
1. 불(Bool), bool()
불(bool)은 흔히 말하는 '이거 아님 저거'이다. (참, 거짓), (True, False) 과 같이 결과가 오직 두 가지로 분리되는 자료형이다. ['불린'이라고 부르기도 함]. 어떤 정수형 변수 값이
이면(ex. A = int(0)) 그 결과 값이 False로 나온다. 마찬가지로 void인 상태여도 False로 인식한다.
2. 정수(Integer), int()
수학과 마찬가지로 정수는 양수와 음수 모두를 포함하는 숫자이다. python에서는 int로 표현이 된다.
3. 부동 소수점(실수). float()
부동 소수점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소수점의 위치가 정해지지 않은, 즉 소수점을 포함한 수를 말한다. 양의 소수, 음의 소수 모두를 포함한다.
4. 문자열
Python에서 문자열은 C나 C++와는 다르게 char 를 쓰지 않는다. 즉, 정수나 실수, 불과는 다르지만 따로 구분 없이 사용한다.
Python에서 None이란 아무것도 없는 무(無)의 상태를 말한다. 즉 C에서 Void나 Null과 같다. 숫자의 0과 빈 문자열 " " 과는 또 다른 개념이다. 값이 비어있는 것을 말한다.
댓글
댓글 쓰기